Who are we?

Imagine a serene scene where a human figure stands at the center, blending with elements of nature. The figure's lower body merges with the earth, symbolizing roots or soil. Swirls of wind around the figure represent the desire for freedom. Birds in flight above symbolize yearning to explore the skies. The figure's outstretched arms transition into branches, leaves, or water waves on one side, and animals like a dog or a fish are subtly integrated on the other side, showcasing connection to the ecosystem. The vast background includes mountains, a river flowing into the sea, and a night sky filled with stars, encapsulating the beauty of the world and our desire to experience it in its entirety.

Who are we, truly? Observing a river’s flow, we grasp its entirety without noticing the myriad water molecules within, interacting in complex ways. Our perception, inherently limited, captures only the river’s visible essence. Science has expanded our awareness, revealing not only the intricacies of water molecules but also the unseen universe beyond. Yet, our daily perceptions often mislead us, embedding misconceptions in our minds as truths. For instance, the notion of a “flowing river” simplifies a more complex reality: the river’s motion is not a singular flow but a collective movement of molecules, directed by gravity. The river we see now differs from the one an hour ago, yet we perceive it as unchanged. We might think of the Otter River as constant, but in truth, it’s ever-changing, its composition and identity shifting with time.

Similarly, human nature mirrors the river’s transience. Our cells regenerate constantly, rendering us materially different from year to year. Biologically, the person of today is not the person of tomorrow. Yet, we are recognized as the same entity, akin to perceiving two distinct iterations of steel as identical.

What, then, defines a human? Borrowing a philosopher’s perspective, humans are “passing beings,” temporary carriers of energy, sharing the birthright of trees, flowers, and animals. Born from Earth’s conducive conditions, we return to it, transient occupants on a geological timescale. From a cosmic viewpoint, humanity resembles microorganisms on a speck of dust, not insignificant but part of a fascinating narrative of life’s abundance on Earth. We participate in the Earth’s cyclical ecosystem, born from it and destined to return.

Living with this consciousness, being human is a blend of privilege and constraint. We are privileged to experience the world with profound perception, yet we face the limitations of our human form. Unlike the boundless wind or the vast sea, we cannot traverse the world with the same freedom or depth. Our senses, though keen, fall short of a dog’s scent or a bat’s echolocation. We are not equipped to glide through the sea like fish or soar through the skies like birds. Grounded in our humanity, we engage deeply with the world, crafting complex ideas and understanding its myriad facets. Yet, at our core, we are part of Earth’s ecosystem, participants in its endless cycles of life and death. Poetically speaking, humans are “beings crossing over,” transient in nature yet fundamentally connected to Earth’s rhythms.

By embracing our ephemeral existence, we transcend mere human identity, aligning ourselves with the Earth’s perpetual flow. This realization, deepened through meditation, allows us to embody the expansiveness of a sea or lake, or the liberty of the wind and air. It enables us to traverse the globe freely, enriching our experiences and broadening our perspectives. In acknowledging our role in the broader tapestry of life, we find a deeper connection to the world and a more expansive understanding of our place within it.

나는 누구인가

흘러가는 강물을 지켜보면 우리는 전체 강의 흐름은 보이지만, 속에 무수히 많은 분자들이 뒤엉켜 서로에게 복잡한 영향을 서로 주고받고 있는 모습을 보지 못한다. 우리에게 인식되는 것은 그저 눈으로 보이는 강물과 강물의 흐름일 뿐이다. 인간은 태생부터 이렇게 인식부터 매우 제한적이다. 과학은 우리의 인식 수준을 높이고 실제 모습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래서 앞서 언급한 분자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멀리 보이지 않는 우주의 세계에 대해서도 이해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상 생활속에서는 여전히 인간의 인식은 우리 스스로에게 눈속임을 하고 있다. 많은 정보와 개념들이 실제와는 다른 방식으로 우리 머리속에 저장되어있고 우리는 그것이 진실이라고 일초의 의심없이 믿고 있다. 예를 들면 처음 얘기했던강물이 흘러간다라는 인식은 사실과 다른 인식이다. 강물은 흘러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끝없이 분자간의 운동을 하고 있고, 운동이 중력에 의해 어떠한 방향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한시간 전에 강물은 지금의 강물과는 전혀 다른 강물임에도 인간은 같은 강으로 인지한다. 강의 이름이 수달강이라는 이름이 있다면, 우리는 1시간 전에 수달강의 모습을 보고는 1년뒤에도 수달강은 같은 성질을 갖고 있을것이라고 매우 쉽게 착각할 있지만, 조금만 깊이 생각해보면 사실 그렇지 않다는 것을 있다. 오늘의 수달강과 내일의 수달강은 전혀 다른 물분자와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을뿐 아니라 동일한 이름으로 불릴수도 없다. 전혀 다른 물질로 구성되어있고 이름도 달라야 한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수달강이라고 부르고 있다.

 

나는 인간의 본질도 강물과 같다고 생각한다. 세포는 내가 매순간 숨쉬는 시점에도 재생성되어 1년이 지나면 현재의 나의 몸을 이루고 있는 모든 세포가 1년뒤의 세포와는 전혀 다르다고 한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보면 어제의 수달과 내일의 수달 그리고 1년전의 수달과 오늘의 수달은 모두 다르다. 하지만 사람들은 나를 동일한 수달로 인지할 것이다. 마치 전혀 다른 물질로 구성된 2 버전의 수달강에 대해서 사람들이 동일한 것으로 인지한것과 마찬가지다.

 

인간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답을 한다면 나는 어느 철학자의 말을 빌리고 싶다. 인간은건너가는 존재이다. 인간은 어떤 에너지의 매개체라고 생각한다. 잠시 인간이라는 형태를 갖고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인간의 탄생은 옆에 자라고 있는 나무와 풀과 그리고 동물들의 탄생과 다르지 않다고 본다. 지구라는 생물이 자라날 있는 이상적인 환경이 있었기에 인간은 지구의 부산물로 탄생했다. 그리고 인간이 탄생후에 다시금 지구로 돌아간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인간은 건너가는 존재라고 생각한다. 수십만년 존재한 지구의 입장에서 보면 인간은 하루살이 보다도 적은 시간을 살고 있는 존재일 것이다. 수십만년 중에 마지막 몇시간전에 나타난 존재일테니 말이다. 그럼 지구보다 이세상을 넓게 본다면 우주적 관점에서 인간은 떠다니는 먼지 덩어리 위에 살고 있는 미생물과 다를바 없다. 인간이 보잘것 없다는 얘기를 하는 것이 아니다. 지구라는 멋진 흙덩이 위에 매우 흥미로운 일이 발생했다. 우연히 생명체가 넘쳐나게 되었고, 생명체들은 푸른 행성위에 탄생과 죽음을 계속 반복하고 있다. 인간도 이러한 지구의 순환과 반복하는 이코시스템의 일부라는 얘기를 하고 싶다. 우리는 태어나고 다시 죽음을 맞이한다. 그런면에서우리는 다른 동식물과 다를바가 없다. 지구의 일부이고, 지구에서 잉태되었다. 그리고 다시 지구로 돌아간다. 잠시 인간의 형태로 있을뿐 길어봤자 100 안에 다시 지구로 돌아갈 운명이다.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산다면 인간으로 태어난 것은 행운이기도 하지만 한편 불운이기도 하다. 인간으로 태어나서 세상을 높은 수준으로 인지할 있는 것은 행운이다. 하지만 불운은 인간이라는 형태는 많은 제약이 있다. 우리는 바람처럼 자유롭게 형태없이 이동하거나, 바다처럼 넓고 깊고 강력하지 못하다. 우리는 강아지처럼 곳의 냄새를 맡지 못하고, 박쥐처럼 어둠속에서 초음파로 세상을 밝은 아침처럼 바라볼수도 없다. 우리는 물고기처럼 바다속에서 자유롭게 헤엄치거나 숨쉴수가 없고, 새처럼 하늘을 마음것 날수도 없다. 우리는 인간이다. 두발로 땅을 딛고 세상의 많은 것들을 보고 느끼고 인지하고 복잡한 개념을 이해하고 창초해 낸다. 하지만 인간의 본질은 수없이 탄생과 죽음을 반복하며 순환하는 지구의 이코시스템의 일부분이고 부산물이라는 점은 인간을 보다 시적으로 표현한다면건너가는 존재라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일시적인 본성을 인식함으로서 우리는 단지 자신을 인간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지속적인 순환에 대한 통합적인 존재로 인식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나의 존재를 인간의 형태에서 더욱 확장하여 인식하여 명상을 통해서 넓은 바다와 호수가 되기도 하고 자유로운 바람과 공기가 되어 세상을 마음껏 돌아다니며 경험의 저변을 넓힐 있습니다.

명상이란?

명상은 과거 아시아의 일부 종교적 인물과 영적 탐험가들의 수행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아시아에서는 대제사장, 고행자, 구루 같은 개인이 이러한 영적 훈련의 선구자였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명상의 기술과 이점은 서구 세계로 퍼졌습니다. 서양인들은 아시아 영적 영역의 신비를 밝히기 위해 먼 나라로 모험을 떠나 아시아 영성과 명상을 점진적으로 유럽과 미국으로 전파되었습니다. 이러한 진화는 아시아의 차 문화가 서양으로 이주하여 독특한 상품으로 변모하는 것에 비유될 수 있습니다.

아시아의 차 문화가 서양으로 이주하여 독특한 상품으로 변모한 것처럼, 명상도 서양세계에서 진화하여 그 자체로 체계적인 상품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명상 서적과 Headspace 및 Calm과 같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현대 명상 수련 및 제품은 아시아 영적 세계의 본질을 완전히 포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감정 조절과 일시적인 평화를 제공할 수 있지만 지속적인 자유와 평온을 얻으려면 종종 더 심오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제품의 사용자는 제품이 제공하는 평온함과 행복이 쇼핑의 찰나의 즐거움과 마찬가지로 일시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일상으로 돌아가서는 매우 혼란스럽고 심기가 불편한 상황을 지속적으로 마주하고 스스로 인간이 원래 다 그렇다고 스스로를 폄하하게 됩니다.

현대 명상은  호흡과 성찰, 자신의 몸, 행동, 감정, 과거 경험을 집중하여 탐구하는 것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상품화된 명상은 아직 진정한 성찰의 깊이에 이르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산스크리트어 “SatiPathana”는 “나를 보라”는 뜻으로 명상에는 자기 성찰이 포함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일부 개인은 다양한 명상 방법을 경험하고 높은 수준의 수행에 도달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알려진 기술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앞에서 언급한 현대의 명상 상품만으로는 일시적인 안도감을 제공하지만 궁극적인 정신적 자유와 평온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산스크립트어로 “Bodhi Dharma”는 진리를 깨닫다라는 뜻으로  진리를 깨닫는 것과 자아성찰 (SatiPathana)이 결합되어야만 진정한 자유와 평온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SatiPathana와 Bodh Dharma는 마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과 같이 동일한 물질에 대한 해석과 시각이 너무 다르고 난해하여 서로 결합된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높은 수행을 통해서 이 둘을 각각 이해하고 결합하여 세상을 바라보고 깨달음을 얻는데 까지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What is Meditation?

 

Meditation was a legacy of a small number of Asian religious figures or people who explored the spiritual world in the past. In Asia, these people were called high priests, ascetics, or gurus. In modern times, the methodology and effects of meditation have been widely transmitted to the West. At one time, there were Westerners who traveled to remote places or went on adventures to explore the mysteries of Asia’s spiritual world. Through them, Asian spirituality and meditation also gradually spread.

Just as Asia’s tea culture migrated to the West and became its own product, I believe that meditation also evolved and became a systematic product in its own way. Content on meditation books and methodologies, including applications such as Headspace and Calm, is pouring out. However, I believe that these meditation products do not yet capture the essence of the Asian spiritual world. I think it can be a very temporary way to temporarily control emotions and find peace for a while, but true freedom and tranquility cannot be achieved with various modern meditation products and methodologies. Perhaps many people who are consuming these meditation products are feeling this themselves. I think it is a very temporary feeling of innerpeace and happiness, just like when we go shopping and feel happy for a while, but then the happiness gradually disappears. It takes much more study and effort to overcome temporary happiness and temporary tranquility. People who first begin meditation focus on their breathing and gradually reflect on themselves. You look into your body, your actions, your emotions, and even the experiences and pain you have experienced in the past. I think this is the scope of so-called modern meditation.

This is a limitation of modern meditation. It is possible that commercialized meditation has not yet reached the true depth of reflection. The Sanskrit word “SatiPathana” translates to “look at me,” emphasizing that meditation involves self-reflection. While some individuals may have experienced the various meditation methods mentioned here and reached high levels of practice, it is worth noting that even these well-known techniques have limitations. It may provide temporary relief, but it cannot achieve ultimate mental freedom and permanent tranquility. In Sanscript, “Bodhi Dharma” means realizing the truth. Only through realizing the truth and self-reflection can one achieve true freedom and tranquility.

However, Sati Pathana and Bodh Dharma, like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and quantum mechanics, have so different and difficult interpretations and perspectives on the same substance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m combined. It takes a lot of effort to understand and combine these two through high practice to view the world and achieve enlightenment.